본문 바로가기
알아두면 좋은 정보/각종 이슈

육아휴직 1년 6개월 육아휴직 급여 및 부모급여까지 알아보기

by 밍누 2023. 9. 7.
반응형

육아휴직 1년 6개월

 

안녕하세요. 이슈정보통입니다.

정부에서 저출산문제 해결을 위해

많은 정책 및 환경을 개선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육아휴직 1년 6개월, 육아휴직 급여

그리고 부모급여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목차여기]

 

육아휴직이란?


임신 중인 여성 근로자나, 근로자가 만 8세 이하 또는 초등학교 2학년 이하의 자녀를 양육하기 위해 신청,사용하는 휴직

육아휴직

육아휴직은 근로자의 육아부담 해소와 생활안정 등을 도모하는 좋은 정책입니다.

하지만 직장에서 눈치 보여 제대로 사용하지 못하는 근로자들도 허다합니다.

게다가 남자들이 육아휴직을 쓰는 것은 더욱 쉽지 않은 현실입니다.

이러한 환경과 인식을 정부 차원에서 바꾸는 것이 최우선인 거 같습니다.

 

 

육아휴직 1년 6개월


2024예산안 카드뉴스
출처 : 기획재정부

2024년도 예산안에서 '출산 및 양육'의 기존 제도 확대 내용이 담겼습니다.

이는 지난 15년간 저출산 대책으로 280조 원을 투입하고도

역대 최저 합계출산율 0.78명을 기록했기 때문입니다.

저출산 문제가 정말 심각한 거 같네요.

 

95년 이후, 최초로 육아휴직이 1년 6개월로 연장됩니다.

기존 12개월에서 18개월(내년 하반기부터)

단, 부모 모두 3개월 이상 육아휴직을 사용해야 6개월을 추가됩니다.

 

여성의 독박 육아를 막고 남성도 육아에 적극 참여하자는 내용입니다.

이건 정말 좋은 생각인 거 같네요! 

 

 

 

육아휴직 급여


육아휴직기간에 통상임금의 100분의 80을 지급

 

육아휴직 급여는 상한액이 월 150만 원, 하한액이 월 70만 원입니다.

 

예를 들면, 월급여 300만 원 근로자의 경우

통상임금 80%는 240만 원이지만 상한액으로 월 150만 원을 지급받습니다.   

 

하지만 막상 육아휴직 급여를 받으면 예상한 돈보다 적게 들어옵니다.

왜냐하면 육아휴직 급여액의 25%는 사후지급금 명목으로 제외하기 때문입니다.

육아휴직 사후지급금은 직장 복귀 6개월 후 합산하여 일시불로 지급합니다.

 

 

부모급여


2023년 1월 25일부터 시행된 정책으로, 2022년까지 만 1세 이하 부모에게 매달 30만 원씩 지급되던 영아수당을 확대 개편한 것

 

매달 30만 원씩 지급했던 기존 영아수당을 확대 개편한 정책이 부모급여입니다.

현재 0~1세 영아에게 매달 각각 70만 원과 35만 원을 지급하고 있습니다.

 

지난 5일, 아동수당법 시행령 개정안을 의결하였다고 보건복지부에서 밝혔습니다.

그래서 2024년부터는 각각 매달 100만 원, 50만 원으로 인상된다고 합니다.

또한 만 8세 미만 아동에게 지급되는 아동수당 10만 원은 별도로 지급됩니다.

 

 

 

마치며


오늘은 육아휴직 1년 6개월 및 부모급여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육아휴직 소급 적용 가능여부도 많이들 궁금해하시는데요.

현재 소급 적용 검토 중이라고 합니다.

또한 3+3 부모육아휴직제 적용 기한도 늘리고 상한액도 높인다고 하는데요.

정부에서 저출산 정책을 확대하고 대폭 지원하고 있네요.

저는 정책보단 정말 육아하기 좋은 환경을 만들어줘야 하는 게 아닌가 싶습니다!

오늘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이전 포스팅 바로가기

 

2023.09.05 - [일상/이것저것] - 9월 대형마트 휴무일 :: 이마트, 이마트트레이더스, 롯데마트, 홈플러스, 코스트코

 

9월 대형마트 휴무일 :: 이마트, 이마트트레이더스, 롯데마트, 홈플러스, 코스트코

안녕하세요. 이슈정보통입니다. 장보러 마트 갔는데 하필 휴무일이면 정말 허무하죠. 또 9월에는 추석이 있어, 대형마트 휴무일이 더 궁금하죠. 그래서 오늘은 9월 대형마트 휴무일에 대해 포스

minwoodaily.tistory.com

 

2023.08.28 - [알아두면 좋은 정보/지원금] - 서울시 난자동결 시술비 최대 200만 원 지원!

 

서울시 난자동결 시술비 최대 200만 원 지원!

안녕하세요. 이슈정보통입니다. 저출생 극복을 위한 정책으로 서울시에서 난자동결 시술비 지원을 시작한다고 합니다. 지금 바로 알아볼게요! 난자동결 시술비 지원이란? 결혼과 임신 연령이

minwoodaily.tistory.com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